기본적인 병리학적 반사. 정상적인 반사 신경

하지에서 가장 중요한 힘줄 반사는 무릎 또는 슬개골입니다. 이 반사에서는 대퇴사두근 힘줄의 자극으로 인해 대퇴사두근이 수축됩니다.

얻는 방법은 환자가 앉아서 다리를 꼬고 검사자가 리그를 망치로 치는 방법이다.

슬개골 proprium. 대퇴사두근의 반사적 수축으로 인해 아래쪽 다리가 앞으로 흔들립니다(그림 25).

쌀. 25. 무릎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

환자가 앉을 수 없으면 검사자는 무릎 관절에서 다리를 들어 올려 아래쪽 다리가 자유롭게 매달린 다음 힘줄을칩니다.

반사를 얻는 주요 조건은 다리의 모든 근육이 완전히 이완된다는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종종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습니다. 환자는 길항제를 긴장 상태로 유지하므로 반사가 유발되지 않습니다. 그런 다음 그들은 이러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인위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꽤 많이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Iendrassik 방법입니다. 환자는 다리를 꼬고 갈고리로 양손의 손가락을 구부린 다음 서로 잡고 팔을 옆으로 강하게 뻗습니다. 이때 연구자는 반사작용을 일으킨다. Schönborn 방법(Schonbom). 환자의 입장도 마찬가지다. 의사는 왼손을 그에게 뻗어 팔뚝을 잡고 양손으로 쥐도록 강요하는 동시에 자유로운 오른손으로 반사를 불러 일으 킵니다. 크로니그 방식. 검사를 하는 동안 환자는 강제로 숨을 강하게 들이마시며 천장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로젠바흐 방법. Volny는 연구 중에 큰 소리로 책을 읽거나 말을 해야 합니다.

때때로 반사를 유발하려는 모든 시도가 실패하면 환자가 몇 분 동안 방 주위를 걷도록 강요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그 후에 반사가 유발됩니다(크로너의 방법).

무릎 반사의 반사궁은 2번째, 3번째, 4번째 요추(L2 - L4)의 3개 척추 부분 수준에서 전달되며, 4번째 요추가 주요 역할을 합니다.

각 반사의 수준은 척수 질환의 분절 진단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무릎 반사는 가장 지속적인 반사 중 하나입니다. 특히 일방적 인 부재는 일반적으로 신경계의 유기적 질병을 나타냅니다. 매우 드문 예외로서 완전히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이러한 반 반사증이 관찰될 수 있으며, 그들이 어린 나이에 반사궁 손상과 관련된 질병을 앓았는지 여부는 의심스럽습니다.

무릎 반사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회전 드럼에 아래쪽 다리의 스윙 또는 수축 시 대퇴사두근의 들어올림을 곡선 형태로 기록하는 다수의 부피가 크고 비실용적인 도구가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도구적 연구는 아직 특별한 결과를 내지 못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모든 전문가는 곧 자신의 눈을 발달시켜 반사 신경의 단계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그라데이션을 지정하려면 다음 표기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는 반사가 힘의 측면에서 특별한 것을 나타내지 않을 때 발생한다고 말합니다. 반사가 적당히 증가하면 반사가 살아 있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반사가 크게 증가하면 반사도 증가합니다.

반대 의미의 반사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반사가 약간 감소하면 반사가 느려집니다. 약화가 매우 심할 때 반사가 감소합니다. 보조 기술이 반사를 유발할 수 없으면 반사가 없습니다.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힘줄 반사는 아킬레스건입니다. 이 경우 아킬레스건의 자극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이 수축됩니다.

이렇게 불립니다. 자유로운 사람은 의자에 무릎을 꿇고 발이 의자 가장자리에 걸리도록하고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킵니다. 검사자는 망치로 아킬레스건을 두드려 발의 발바닥 굴곡을 일으킵니다(그림 26).

침대에서는 환자가 엎드려 누워서 아킬레스 반사를 검사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의사는 환자의 다리를 들어 올려 발을 잡고 약간 배측 굴곡 상태로 만듭니다. 동시에 아킬레스 건이 다소 늘어나서 망치가 적용됩니다.

26. 아킬레스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

환자가 등을 대고 누워 있으면 망치로 타격을 아래에서 위로 해야 하기 때문에 검사가 다소 덜 편리합니다.

이 반사의 억제는 훨씬 덜 뚜렷하므로 일반적으로 실제로 반사를 유도하기 위해 어떤 트릭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킬레스 반사의 호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천골 부분(S1 - S2)을 통과하며 첫 번째 천골 부분이 주요 역할을 합니다.

아킬레스 반사는 또한 가장 일정한 것 중 하나입니다. 아마도 모든 건강한 사람은 무릎과 같은 증상을 갖고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것은 병리학적 현상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건강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에게서 때때로 관찰되는 이 반사에 관해, 무릎반사에 관해 내가 이미 말한 것을 반복할 수 있을 뿐입니다.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아킬레스 반사의 정량적 특성화는 무릎 반사보다 훨씬 적은 결과를 제공하므로 슬개골 반사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미 권장한 방식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손에서는 두 개의 힘줄 반사 (cm)를 처리해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팔뚝과 m. 삼두근.

이두근 반사는 이 근육을 충격으로 인해 힘줄로 수축시키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이렇게 불립니다. 의사는 환자의 팔뚝을 잡고 팔꿈치를 둔각으로 구부린 다음 망치로 이두근 힘줄을칩니다. 결과적으로 팔꿈치에서 단일 굴곡이 발생합니다(그림 27).

이 반사는 더 큰 불변성을 특징으로 하지만 여전히 무릎 및 아킬레스건과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분명히 특정 비율의 경우에는 없거나 거의 동일하게 매우 약하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쌀. 27. 이두근으로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

쌀. 28. 삼두근을 이용한 반사유도 방법.

반사궁은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경추 부분(c5 - C6)을 통과합니다.

삼두근 반사는 타격에서 힘줄까지 이 근육의 수축으로 구성됩니다.

유도하는 방법은 의사가 팔꿈치를 둔각으로 구부린 환자의 상지를 왼손으로 놓고 망치로 어깨 가장 아래쪽의 삼두근 힘줄을 두드리는 것이다. 임팩트 순간 팔꿈치에 단일 확장이 발생합니다(그림 28).

이 반사와 이전 반사에 관해서는 매우 빈번하지만 절대적으로 일정하지 않거나 특정 비율의 경우에 매우 약하게 표현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반사궁은 여섯 번째 및 일곱 번째 경추 부분(C6 - C7)을 통과합니다.

머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힘줄 반사는 m을 이용한 반사입니다. 마사지사

그것은 다음과 같이 불립니다. 환자에게 입을 약간 벌리도록 요청하고 나무 주걱 끝을 아래턱 치아에 놓고 다른 쪽 끝을 왼손으로 잡습니다. 그런 다음 주걱을 다리처럼 망치로 두드립니다. 입이 닫힙니다.

망치로 턱을 치거나 광대뼈 저작근 상단의 부착점을 두드려도 동일한 반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의미가 거의 없고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이 반사 작용은 대다수의 건강한 사람들에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반사궁은 Varoliev 폰을 통과하고 내전근과 외전 반쪽은 동일한 신경인 삼차신경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에 대한 한 가지 반사는 특별히 언급할 가치가 있으며 건강한 사람보다 병리학적 사례에서 더 자주 관찰됩니다. 이는 뼈 반사, 순수한 근육 반사("특이근") 또는 힘줄 반사로 간주됩니다. 이는 Mendelian 반사, 정상적인 Mendel-Bekhterevsky 반사 또는 "발등 반사"라고 합니다.

이는 발 뒤쪽, 직육면체 및 세 번째 접형골 부위를 두드려 발생하며 두 번째에서 네 번째 발가락의 다소 명확한 확장으로 구성됩니다.

이 반사의 빈도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참고 자료로 남아 있습니다. 분명히 건강한 사람들에게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Oppenheim이 설명한 또 다른 반사는 거의 동일한 불확실한 위치에 있습니다. 아무도 정상적인 유형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지만 병리학 적 형태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다음으로 구성됩니다. 강한 압력을 가하면서 망치 또는 손가락의 손잡이를 경골의 안쪽 표면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킵니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이는 발가락의 발바닥 굴곡을 유발하고 때로는 발 전체를 유발합니다.

각 동작에는 여러 근육의 조화로운 동작이 필요합니다. 연필을 손에 쥐려면 여러 근육의 참여가 필요하며 그 중 일부는 수축해야 하고 다른 근육은 이완되어야 합니다. 공동으로 작용하는 근육, 즉 동시에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너지 효과, 반대하는 사람들과 달리 길항근. 수축과 이완의 운동 반사를 통해 시너지 효과와 길항 효과는 서로 완벽하게 조화를 이룹니다.

외력에 의한 근육 신장에 반응하여 길이 변화에만 반응하는 근방추 수용체가 흥분됩니다. 신장 수용체) (그림 7.2), 이는 특별한 유형의 작은 추내 근육 섬유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용체로부터 자극은 민감한 뉴런을 따라 척수로 전달되며, 축삭 끝은 여러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축삭의 일부 가지는 신근 근육의 운동 뉴런과 시냅스를 형성하고 자극하여 근육 수축을 유발합니다. 여기에 단일 시냅스 반사가 있습니다. 호는 두 개의 뉴런으로만 형성됩니다. 동시에, 구심성 축삭의 나머지 가지는 척수의 억제성 개재뉴런의 활동을 활성화하여 길항근에 대한 운동 뉴런의 활동을 즉시 억제합니다. 굴곡근. 따라서 근육 스트레칭은 시너지 근육의 운동 뉴런을 자극하고 반대로 길항근의 운동 뉴런을 억제합니다(그림 7.3).

근육이 길이 변화에 저항하는 힘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근긴장도. 일정한 신체 위치(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 중력은 신근 근육을 스트레칭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반사적 수축이 이를 방해합니다. 예를 들어 어깨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질 때 신근의 스트레칭이 증가하면 수축이 강화됩니다. 근육이 스스로 늘어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자세가 유지됩니다. 신체가 앞으로, 뒤로 또는 옆으로 벗어나면 특정 근육이 늘어나고 탄력도가 반사적으로 증가하여 필요한 신체 위치가 유지됩니다.



굴근 근육의 길이에 대한 반사 조절에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됩니다. 팔이나 다리를 구부리면 하중(팔이나 다리 자체일 수도 있음)이 높아지지만 모든 하중은 근육을 늘리는 경향이 있는 외부 힘입니다. 반응 수축은 하중의 크기에 따라 반사적으로 조절됩니다.

힘줄 반사신경 망치로 다소 이완된 근육의 힘줄을 가볍게 두드려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격에서 힘줄까지 이러한 근육은 늘어나고 반사적으로 즉시 수축됩니다.

반사 순서: 근육을 늘리면 근육이 수축됩니다.

무릎 호 반사(사두근 힘줄로부터):

근육내 신장 수용체(추내 근방추에 있음);

감각 뉴런(신체 - 척수 신경절에 있음);

알파 운동 뉴런(신체 - 척수의 앞쪽 뿔에 있음);

골격근(대퇴사두근).

따라서 이 반사의 호에는 두 개의 뉴런만이 참여하며(그림 7.4), 따라서 하나의 시냅스가 있습니다. 따라서 "단일시냅스 신장 반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또한 상호 억제 회로가 반사궁과 연관되어 있어 근육 수축과 길항근의 이완이 동반됩니다. 단일시냅스 힘줄 반사는 굴근인지 신근인지에 관계없이 모든 근육 그룹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모든 힘줄 반사는 근육이 신장되고(이는 신장 반사임을 의미함) 추내 근방추의 수용체가 흥분될 때 발생합니다. 근육 수축과 관련된 모든 움직임에는 알파 운동 뉴런뿐만 아니라 감마 운동 뉴런의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 이 반사는 근육의 신장(연장)을 유발하여 수축(단축)을 일으키므로 근육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반사는

일정한 근육 길이, 즉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모든 동작의 요소입니다.

근육 길이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므로 움직임이 더 부드러워집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이것이 바로 근성 반사가 척수의 가장 일반적인 반사인 이유입니다.


스트레스 반사

길이 외에도 작동하는 근육에서는 또 다른 매개변수인 긴장이 반사적으로 조절됩니다. 사람이 짐을 들어 올리기 시작하면 근육의 긴장이 증가하여 이 짐이 바닥에서 찢어질 수 있지만 더 이상은 없습니다. 10kg을 들어 올리려면 근육에 긴장을 줄 필요가 없습니다. 20kg. 장력의 증가에 비례하여 힘줄의 고유수용기에서 나오는 자극이 발생합니다. 골지 수용체(장력 수용체). 이것은 추외근 섬유에 연결된 힘줄 섬유의 콜라겐 다발 사이에 위치한 구심성 뉴런의 수초가 없는 말단입니다. 근육의 긴장이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섬유는 골지 수용체를 늘리거나 압축합니다. 증가하는 빈도의 충동은 구심성 뉴런의 축삭을 따라 척수로 전도되어 억제성 개재뉴런으로 전달되어 운동 뉴런이 필요 이상으로 흥분되는 것을 방지합니다(그림 7.5).

반사 순서: 근육의 긴장은 근육을 이완시킵니다. 반사 아크:

힘줄 내부의 장력 수용기(골지 힘줄 기관);

감각뉴런;

억제성 개재뉴런;

알파운동뉴런;

골격근.

반사의 생리적 의미: 이 반사 덕분에 근육의 긴장은 이완됩니다(근육이 긴장할 때만 힘줄이 늘어나고 수용체가 활성화됩니다). 결과적으로, 이는 지속적인 근육 긴장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따라서:

이는 지속적인 근육 긴장, 즉 자세 유지(예: 신근 근육에 상당한 긴장이 필요한 수직 위치)가 필요한 모든 움직임의 요소입니다.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갑작스러운 근육 긴장을 예방합니다.

근육의 길이와 장력은 상호의존적입니다. 예를 들어 팔을 앞으로 뻗으면 근육의 긴장이 완화되고 골지 수용체의 자극이 줄어들고 중력이 팔을 낮추기 시작합니다. 이는 근육 스트레칭, 추내 수용체의 흥분 증가 및 이에 상응하는 운동 뉴런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근육 수축이 일어나고 팔이 이전 위치로 돌아갑니다.

자기 보존, 신체 위치 유지 및 신속한 균형 회복에 중요한 대부분의 반사 작용은 "빠른 작용 메커니즘"과 최소한의 관련 신경 회로를 기반으로 수행됩니다. 신경 중심이 척수의 다양한 수준에 위치한 힘줄 반사는 일반적인 신체 기능 상태, 특히 운동 장치의 테스트 및 국소 테스트로서 임상 실습에서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척수 손상의 경우 진단.

힘줄 반사는 근육성 또는 T-반사(라틴어에서 유래)라고도 합니다. 텐도- 힘줄), 이는 해당 힘줄의 돌출 부위를 신경 망치로 때렸을 때 근육이 늘어나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힘줄 수용기는 역치가 높은 수용기가 있기 때문에 망치로 두드려도 자극을 받지 않으며 근육이 늘어날 때만 활성화됩니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근방추 신장 반사(근섬유증)가 표에 나와 있습니다. 4.1과 그림. 4.11.

힘줄 반사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골막 중수골 요골망치가 요골의 경상 돌기 힘줄을 쳐서 발생하는 반사입니다. 반응

쌀. 4.10. 1 - 신근 근육의 운동 뉴런; 2 - 굴근 근육의 운동 뉴런; 3 - 억제 뉴런; 4 - 근육 스핀들. "+" 기호는 흥분을 의미합니다. "-"표시 - 제동

표 4.1. 근성건반사

신장 반사의 이름

근육 수용체(근방추)의 활성화로 이어지는 자극

반사 반응의 본질

척수 반사궁의 신경 중심 위치

팔뚝의 척골 굴곡 반사

t. 상완이두근

팔뚝 굴곡

V-IV 자궁경부 분절

팔뚝의 신근 반사

신경 망치로 힘줄 두드리기 t. 상완 삼두근

팔뚝 확장

VII-VIII 자궁 경부 분절

무릎-

슬개골 아래 힘줄을 신경 망치로 가볍게 타격

정강이 확장

III-IV 요추 부분

발뒤꿈치(아킬레스건)에 신경 망치로 충격을 가함

발의 발바닥 굴곡

1-II 천골 부분

쌀. 4.11.

이에 대응하여 팔꿈치 관절의 팔 굴곡, 손의 회내 및 손가락 굴곡. 반사궁의 구성요소: 신경 - 중앙, 요골, 근육피부; 척수의 V-VIII 경추 부분으로 회내근, 상완요골근, 손가락 굴곡근, 상완이두근을 자극합니다.

H-신장 반사(Hoffmann)은 경골 신경의 슬와(popliteal fossa)의 전기 자극에 의해 인간에서 발생합니다. 이펙터 - 가자미근. 근전도 등록.

골지 힘줄 수용체와 힘줄 수용체의 척추 운동 반사

골지건 수용체- 이것은 9-13개의 추외 근육 섬유와 무수 신경 말단의 수많은 가지에서 뻗어 있는 힘줄(콜라겐) 필라멘트로 구성된 스핀들 모양의 구조이며, 이는 캡슐로 둘러싸인 lb(Aβ) 유형의 두꺼운 수초 섬유의 연속입니다. 근육 경계. 신경 섬유는 유체가 채워진 공간의 힘줄 필라멘트 묶음 사이에 포함되어 있습니다(그림 4.12).

골지 수용체의 반사는 힘줄이 연결된 수축된 골격근에 의해 늘어날 때 발생합니다. 힘줄 수용체의 정보는 Aβ 그룹의 구심성 신경 섬유를 통해 척수의 등쪽 뿔로 전달되고, 개재뉴런을 통해 수축하는 근육에 신경을 분포시키는 알파 운동 뉴런을 억제합니다. 이것은 그들의 휴식으로 이어집니다. 길항근에 신경을 분포시키는 운동 뉴런이 흥분되고 수축이 일어납니다(그림 4.13).

쌀. 4.12.

따라서 각 골격근에는 반사 조절을 실행할 때 신경 중심과 함께 두 개의 피드백 시스템이 있습니다.

첫 번째 피드백 시스템- 이것은 근육의 수축 속도와 길이에 대한 근방추의 신호입니다.

두 번째 피드백 시스템- 골격근의 장력(수축력) 정도에 대한 골지건 수용체의 정보.

쌀. 4.13. 골지건 수용체 자극에 따른 반사궁의 구조."+" 기호는 여기(excitation)이고, "-" 기호는 억제(inhibition)입니다.

따라서 근육 수축과 이완은 모두 골지 수용체와 연관되어 있습니다. 추내 섬유가 근육의 길이를 결정하고 길이가 변경되면 힘줄 섬유는 근육의 장력을 결정하여 수용체의 장력을 변경합니다.

힘줄 수용체 반사의 생리적 역할은 보호 반사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강한 근육 수축으로 인해 힘줄이 늘어나고 역치가 높은 힘줄 수용체가 활성화되면 근육과 힘줄 모두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사는 보호 반사이지만 주요 역할은 정상적인 근육 수축 중에 근육 긴장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힘줄 수용체의 반사는 근육 수축의 힘이 근육 자체의 이완을 유도하는 자극임을 보여줍니다.

반사과다증은 반사 신경의 증가로, 분절 장치(척수 및 뇌간 포함)의 반사 활동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ICD-10 R29.2
ICD-9 796.1
망사 D012021

대부분의 경우, 이는 대뇌 피질에서 분절 장치로 억제 충동이 도달하는 피라미드 관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일반 정보

반사과다증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질병의 증상이지만, 어떤 경우에는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반사 신경의 증가가 감지될 수 있습니다.

종류

반사 신경의 증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칭형(양쪽 반사가 증가함) 다른 병리학적 증상이 없으면 건강한 사람이나 신경증 환자에게서도 발견될 수 있지만 신경계 손상의 징후일 수도 있습니다.
  • 비대칭 (반사 수준의 증가는 한쪽에서만 관찰됩니다). 추체관이 영향을 받을 때 관찰됩니다.

관련된 근육의 수에 따라 다음이 있습니다.

  • 모든 힘줄 반사가 증가하는 일반적인 반사 과다증;
  • 개별 근육(배뇨근 등)의 과다반사.

반사 강화의 심각도에 따라 반사과다증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 약간 표현됨;
  • 매우 뚜렷하다 ().

개발 이유

반사과다증은 분절 반사 장치에 대한 뇌의 억제 효과가 약화될 때 발생합니다.

과다 반사는 중독 중에 관찰되며 다음과 같은 결과로 발생합니다.

  • Latrodectus (검은 과부) 거미에게 물립니다.
  • 정신자극제(암페타민, 알파 및 베타 아드레날린 자극제) 중독. 증가된 반사 신경은 종종 메스꺼움 및 기타 중독 증상을 동반합니다.
  • 파상풍은 Clostridium tetani의 영양세포에서 생산되는 강력한 신경독인 사상독소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테타노톡신의 영향으로 운동 뉴런에 대한 억제 효과가 제거되어 근긴장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반사과민증(가장 작은 자극에도 반응하는 강장제 경련이 동반됨)이 발생합니다.

신생아의 반사과다증은 출산 외상으로 인한 척수 손상, 금단 증후군의 징후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증가된 힘줄 반사(클로누스)의 징후는 힘줄의 신장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하는 근육의 리드미컬한 수축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흔하고(반사과다증의 모든 경우에서 관찰됨) 뚜렷한 것은 클로누스입니다.

  • 슬개골. 슬개골이 급격히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앙와위 자세에서 발생합니다. 슬개골은 변위된 위치로 유지되며 리드미컬하게 움직입니다.
  • 피트. 아킬레스건이 늘어나 발이 리드미컬하게 굴곡되고 확장될 때 발생합니다.

신경증과 반사 신경의 생리적 증가로 인해 클로누스는 지속되지 않고 항상 대칭이며 다른 증상을 동반하지 않습니다.

진단

반사과다증은 신경 망치로 타격, 라인 자극 및 기타 방법을 사용한 반사 연구를 기반으로 진단됩니다.

반사 신경 증가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을 포함한 추가 진단이 수행됩니다.

  • 혈액 및 소변 검사;
  • 방사선 촬영 등

치료

반사과다증의 치료는 발생 원인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반사과민증이 독성 물질에 대한 노출로 인해 발생한 경우, 신체에서 독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합니다.

방광 반사과다의 경우 근긴장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이 사용됩니다.

척수 손상의 경우에는 2차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투여하고, 회복 단계에서는 근육을 지배하는 신경 등을 전기 자극하는 방법을 시행합니다.

이러한 R을 유도할 때는 근육을 최대한 이완시키고 약간 수동적으로 늘려야 합니다.

이두근 힘줄의 R. (이두근 반사 또는 R. 척골 굴곡)은 팔꿈치 부위의 상완 이두근 힘줄에 신경 망치의 짧은 갑작스런 타격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팔뚝은 구부러져 야 함) 둔각으로). 이 타격에 반응하여 팔은 팔꿈치 관절에서 구부러집니다.

삼두근 힘줄의 R.(삼두근 반사 또는 R. 척골 신근)은 팔뚝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졌을 때 삼두근 힘줄을 망치로 두드려 발생합니다. 후자는 이에 대응하여 구부러지지 않습니다.

R. 수근골(하방 요골) 골막은 요골의 아래쪽 가장자리(경상돌기 영역)에 해머 타격을 가하여 발생합니다. 반응: 굴곡, 팔뚝의 약간의 회내 및 손가락 굴곡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손가락의 굴곡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습니다. 이 R.을 유발할 때 손가락의 뚜렷한 굴곡은 Jacobson-Lask 반사 또는 Bekhterev-Jacobson 반사 (피라미드 관에 경미한 손상으로 관찰됨)로도 설명됩니다.

R. 견갑골은 견갑골 안쪽 가장자리에 해머 타격을 가하여 내전이 발생합니다. 이때 팔이 자유롭게 매달리면 어깨의 내전과 바깥쪽으로의 회전이 관찰됩니다(R. Bekhterev-Jacobson 견갑상완). 깊은 복부 R. 그룹도 골막 R에 속합니다.

R. 슬개골(슬개골)은 슬개골 아래의 대퇴사두근 힘줄에 망치 타격을 가하여 근육의 수축과 다리의 확장을 초래함으로써 발생합니다. 때때로 무릎 R을 유발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특히 환자가 다리 근육을 이완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별한 기술이 사용됩니다. 가장 흔한 방법은 Jendraszik 기술입니다. 환자에게 손가락을 쥐고 강제로 옆으로 잡아당기도록 요청합니다. 또한, 피험자는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의사의 손바닥에 발뒤꿈치를 가볍게 누르거나, 심호흡을 하면서 천장을 바라보며 숫자를 세면서 주먹을 세게 쥐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다.

이러한 R.은 거의 모든 건강한 개인에게 발생합니다. 선천적 부재(에디 증후군의 변형)는 극히 드뭅니다.

아킬레스 R.은 망치로 아킬레스 건을 쳐서 발생합니다. 결과적으로 발의 발바닥 굴곡이 발생합니다.

망치(R. 발목)로 정강이의 외부 표면을 칠 때 유사한 반응(발의 발바닥 굴곡)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이는 3~14세의 건강한 어린이의 15%에서 양성이며 양쪽 다리의 아래쪽 1/3에서 대칭적으로 발생합니다.

R. medioplantarum은 발의 발바닥 표면 중앙에 해머 타격을 가하여 발생합니다. 반응과 반사궁은 Achilles P와 유사합니다.

건강한 어린이의 R. 힘줄-골막은 활기차고 대칭적입니다(정상굴곡증). 다양한 병리학적 상태에서 이는 증가(반사과다), 비대칭(부반사증), 감소(저반사증) 또는 전혀 없을(반사증) 수 있습니다. R.의 최대 증가 정도는 일반적으로 발, 슬개골 또는 손 부위에서 발견되는 클로누스 또는 클로누소이드의 존재입니다(덜 자주). 클로누스는 힘줄의 스트레칭으로 인해 리드미컬하게 반복되는 근육 수축입니다. 이 경우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리듬 수축(클로누소이드)이 발생합니다.

발의 클로누스는 강렬한 배측굴곡으로 인해 발생합니다(하지(하지)는 엉덩이와 무릎 관절에서 구부러져야 함). 슬개골 클로누스는 다리를 뻗은 위치에서 검사합니다(이를 위해 슬개골을 빠르게 아래로 이동하고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잡습니다). 손의 클로누스(clonus)는 급격한 등쪽 굴곡에 의해 결정됩니다.

신경증 환자뿐만 아니라 추체관 손상의 경우 힘줄-골막 R의 균일한 증가(유도 영역의 확장과 함께)가 관찰될 수 있습니다. 신경증에서는 발의 클로누스가 때때로 발생하며 드물게 클로누스가 발생합니다. 피라미드 관의 부전은 복부 R의 급격한 감소 또는 완전한 부재와 함께 높은 힘줄 골막 R.로 표시됩니다. 이러한 환자에서 병리학 적 R.이 결정됩니다. 일방적 감소 또는 심부 복부 R.의 부재, 단 하나 또는 여러 개는 항상 중추 신경계의 유기적 손상의 징후입니다. 힘줄-골막 R.의 감소는 일반적이고 국소적일 수 있습니다. 후자는 항상 반사궁 부위(말초 신경, 전방 및 후방 신경 뿌리, 척수의 해당 부분)의 병변을 나타냅니다. R.의 확산 감소 또는 심지어 R.의 부재는 본질적으로 선천적이며 원발성 근육 손상, 소뇌 종양, 선천성 근육 저혈압 및 두개 내압 증가의 경우에도 가능합니다.



mob_info